아기 낮잠 언제까지 재워야 하는가에 대해 많은 부모님들이 고민하시죠? 우리 아기의 낮잠을 어느 시기까지 재워야 할지, 언제쯤 낮잠을 끊는 것이 올바를지에 대한 기준이 모호해서 혼란을 겪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아이 마다 성장 발달의 속도는 각기 다르기 때문에 우리 아기에 맞는 낮잠 패턴을 정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요.
오늘은 아기 낮잠 언제 끊어야 하는지와 더불어 아이 발달 단계에 따른 낮잠 시간, 낮잠의 중요성에 대해 모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아기 낮잠을 끊어야 하는 시기와 신호
아기 낮잠을 끊어야 하는 시기와 신호에 대해 정리 해드리겠습니다.
먼저 많은 아이들이 평균 3세~5세 사이에 낮잠을 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기 낮잠을 끊어야 하는 시기가 명확하게 이론화 된 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낮잠을 끊어내야 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것은 부모님이 아이를 지켜 보았을 때 아이가 느끼는 피로감, 저녁 수면 상태나 질적인 부분 또는 낮시간 아기가 노는 에너지 등을 관찰해보면서 적당한 시기를 결정하실 수 가 있습니다.
아기 낮잠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겟다고 느껴지는 신호가 몇 가지 있는데요. 아래와 같습니다.
- 낮잠을 자려고 할 때마다 저항이 심하고 수면 거부를 하는 일 수가 늘어나는 경우
- 결국 낮잠을 패스 한 날 오히려 밤 오후 컨디션이 말짱하고 밤 수면에 쉽게 든 경우
- 늦잠을 잘 잔 날 오히려 밤 수면이 힘들어 진 경우 혹은 밤 잠에 든 시간이 늦어진 경우
위의 신호가 나타난다면 낮잠을 끊을 준비를 서서히 하셔도 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단, 낮잠을 끊어내는 건 단번에 하시면 안되고 서서히 진행되어야 합니다. 갑작스럽게 낮잠을 생략하게 되면 아이가 느끼는 피로감이 커질 뿐만 아니라 투정이 심해지고 잦은 울음을 보입니다.
낮잠을 줄이고자 마음 먹으셨을 땐 낮잠 시간 자체를 1시간 반에서 1시간으로 줄이는 과정을 거치거나 이틀에 한 번 꼴로 낮잠을 생략해보는 방법으로 차근차근 바꿔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낮잠을 끊을 때 주의할 점
낮잠을 끊을 때 주의할 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아기의 개월 수와 신체 발달 상황에 따라 낮잠을 끊어 나가는 것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하는 과정 중 하나 입니다. 하지만 낮잠을 끊어 내는 과정에서 주의할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낮잠을 끊어내는 과정에 달라진 생활패턴에서 오는 변화로 밤 수면 패턴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여기서 부모님이 힘드실 수 있지만 사실 이 시기가 제일 힘든 건 아이일겁니다. 아이가 새로운 패턴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도록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 주시길 바래요. 아이의 피로감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저녁 수면 시간을 조금은 앞당겨주셔도 됩니다. 우리는 밤에 잘 자기 위해 이 과정을 겪는 것이니까요.
- 저녁 수면의 루틴에 좀 더 신경을 써주셔야 할 때 입니다. 수면 의식을 더욱 더 섬세하게 신경써주세요. 평소보다 더욱 더 규칙적인 생활패턴을 만들어 줄 수 있도록 노력해주셔야 해요. 저녁먹는 시간을 최대한 지켜주시고 목욕 후 조용한 분위기를 만들어 수면 의식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위의 과정을 통해 낮잠을 서서히 끊어 주시면 되는데, 문제는 아기가 낮잠을 충분히 자야 하는 개월 수임에도 밤 수면을 위해 임의로 아기의 낮잠을 끊어버리시는 분들도 간혹 계십니다.
>>> 육아 스트레스 줄이는 실전 Tip! 엄마를 위한 시간 관리 방법
육아 스트레스 줄이는 실전 Tip! 엄마를 위한 시간 관리 방법
육아 스트레스 줄이는 실전 Tip! 엄마를 위한 시간 관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육아는 그 자체만으로도 매우 감사하고 보람되는 행복한 일이지만 동시에 많은
tip.cheabellaa.com
아기의 낮잠을 무작정 끊으면 안되는 이유는 뭘까요?
아기 낮잠 무작정 끊으면 안되는 이유
아기 낮잠 무작정 끊으면 안되는 이유는 낮잠 자체가 단순히 밤 잠이 부족해 회복하는 단순한 시간이 아닌 아이의 육체적 정신적 성장과 발달에 꼭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우선 낮잠은 아이의 학습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말을 배우는 시기 언어 발달과 인지 능력에 아주 큰 도움을 주는 것이 바로 낮잠이죠.
또한 낮잠을 통해 아이의 감정 기복에 대한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성인도 피로감을 느끼면 느낄 수록 예민해지듯이 아이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유아 시기 아기들은 생각보다 많은 에너지를 씁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월 수에 맞는 충분한 낮잠을 통해 신체 능력을 회복하고 낮잠으로 부터 활력을 얻기도 하죠.
마지막으로 개월 수에 맞는 낮잠을 규칙성이 있게 자게 된다면 아이의 밤 수면 습관 역시 자연스레 바르게 잡힙니다. 전반 적인 수면 패턴을 안정적이게 잡아 나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부터는 아기 개월 수에 따른 필요 낮잠 시간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아기 개월 수에 따른 낮잠 평균 시간
아기 개월 수에 따른 낮잠 평균 시간입니다. 아기 별로 차이가 조금씩 존재하겠지만 아기 낮잠시간은 결과론적으로는 점차 사라지며 자라면 자랄 수록 완전히 사라지는 순간들이 올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월 수에 맞는 평균적인 낮잠시간은 최대한으로 지켜 주셔서 아이가 천천히 적응해나갈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 0~3개월 : 낮잠과 밤수면의 구분이 많이 없는 시기입니다. 하루 총 수면시간은 최소 11시간에서 최대 18시간입니다. 수면 시간과 주기가 짧은 것이 특징입니다.
- 4~6개월 : 평균 오전과 오후 낮잠으로 구분이 잡혀가는 시기입니다. 수면시간은 신생아때보다는 줄어들지만 하루 평균 수면시간으로 16시간 정도는 유지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6개월 ~ 돌 전 : 이 때는 오전, 오후 낮잠의 패턴이 확실히 잡힌 시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 때 역시 하루 수면 시간은 16시간 정도입니다.
- 돌 후 ~ 18개월 : 오전 낮잠을 서서히 끊으며 하루 한 번의 낮잠을 자도 괜찮을 시기가 옵니다. 한 번 자는 낮잠 시간은 1시간 반에서 2시간 이내로 잡아주시고 이 때부터는 많은 아이들이 밤 수면이 안정적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이 시기 부터는 하루 평균 수면 시간으로 최소 13~14시간으로 잡아주시면 됩니다.
- 18개월 ~ 두 돌 : 하루 한 번 낮잠을 자는 것에 익숙한 시기이며 낮잠으로 인해 아이의 컨디션과 육체적 성장에 도움을 많이 받는 시기입니다.
- 두 돌 ~ 만 4세 : 낮잠을 한 번만 자는 아이가 있고 아예 끊은 아이도 있는 시기 입니다. 이러한 시기의 낮잠의 필요성은 아이마다 다릅니다. 아이의 성장 발육 상태에 따라 필요에 의해 1시간 이내로 짧게 낮잠을 재우면서 아이의 피로를 풀어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은 없습니다.
밤 잠을 잘 못자는 아이, 아기가 밤에 잘 못자는 이유 또는 유아 불면증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아이 수면 문제, 상황별 구체적인 해결 방법
'육아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면역력 높이는 방법, 계절 별 챙겨야 할 필수 영양소와 생활 습관 정리 (0) | 2024.10.15 |
---|---|
아기 밤낮 바뀜 해결 방법 솔루션 8가지 (0) | 2024.10.14 |
아이 수면 문제, 상황별 구체적인 해결 방법 (0) | 2024.10.07 |
유아 영어 교육 언제 어떻게 시작할까 (0) | 2024.10.06 |
육아 스트레스 줄이는 실전 Tip! 엄마를 위한 시간 관리 방법 (0) | 2024.10.06 |